본문 바로가기
알면 써먹기 좋은 지식

실감정증 이란 무엇인가요? 치료 방법은? (알렉시사이미어)

by ◉∙⏎・❖•▶︎⁍ 2024. 8. 15.
반응형

실감정증(알렉시사이미아)은 시프네오스가 제창한 성격 특성입니다. 자신의 감정(정동)에 대한 인식과 그 감정의 언어화의 장애, 또 내성의 부족함 등의 점에 특징이 있다고 합니다. 심신증의 발병의 구조의 설명에 이용되는 개념입니다만, 최근에는 충동성이나 공감 능력의 부족 등, 스트레스 대처나 대인 관계를 둘러싼 문제와의 관련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실감정증」이라는 말로부터는, 감정이 상실된 병을 이미지해 버릴 것 같습니다만, 그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이 실감정증(알렉시사이미어: a-lexi-thymia)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촉발된 것은 1972년입니다. 하버드 대학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PE 시프네오스 의사는 오랫동안 소위 고전적인 '심신병증'이라고 불리던 환자들( 궤양성 대장염 이나 기관지 천식 등)의 치료에 임해 왔습니다. 그 임상 경험에서 이 환자들에게는 어떤 심리적 특징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별로 생기가 느껴지지 않고, 갈등 상황이나 좌절이 쌓이는 상황에서는, 내성하거나 곤란하게 능숙하게 대처하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피하기 위한 행동에 달려 버린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가장 큰 특징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를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었습니다. 거기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말이 부족한 것 = 실감정(언어화)증이라는 개념이 나온 것입니다.

 

왜, 심신증이라고 하는 몸의 병과 이러한 감정을 말로 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에 관계가 있는 것일까요? 그것은 우리의 몸과 마음은 밀접하게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불안이나 공포 혹은 기쁨과 같은 「희로애락」은 정동(emotion)이라고 불립니다. 화내면 얼굴이 새빨갛게 되거나, 공포에 습격되어 불안해지면 심장이 두근두근해 목소리가 올라가거나 합니다.

 

반응형

 

이처럼 정동은 몸의 변화와 직결되어 자율신경계의 변화나 표정, 목소리의 변화 등 몸의 변화와 일체가 되고 있습니다.


이 정동의 변화는 또한 우리의 주관적인 기분=감정(feelings)의 변화와도 보통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감정의 변화에 ​​대해, 우리는 자신이 「배가 서 있다」라든가 「매우 무서운 생각을 했다」라고 그 감정을 알아차리고, 그것을 말로 표현을 하는 것을 평소 아무렇지도 않게 가고 있습니다만, 심신증 의 환자들은 아무래도 그렇게 한 것이 능숙하지 않은 것은 아닐까 하는 것입니다.

 

옛날의 속담에 있는 「무슨 말하지 않는 것은, 배고프는 일부러」와 같이, 자신의 미묘한 감정의 변화를 눈치채어 말로 해 나가는 것은, 우리의 건강 유지에 특히 중요하다고 하는 것입니다.

 

실감정증의 개념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검토되었으며 다음 특징으로 요약되었다.

  1. 자신의 감정이 어떤 것인지 말로 표현하거나 정동이 환기된 것에 의해 초래되는 감정과 신체의 감각을 구별하기가 어렵다.
  2. 감정을 타인에게 말로 나타내기가 어렵다.
  3. 가난한 공상력에서 입증되는 것처럼 상상력이 제한됩니다.
  4. (자기의 내면보다) 자극에 묶인 외부적인 사실에 관심이 향하는 인지 스타일.

 

이러한 특징에 관해서, 흥미롭게도 최근의 뇌과학 연구로부터, 자신의 내적인 감정을 알아차리고 표현하는 것과, 자신과는 일단 떨어진 시점(다른 사람의 시점에 서 있다)을 가지는 것=자신을객체화할 수 있는 것 하지만, 실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을 알았습니다.

 

감정의 눈치채는 문제는 공감성, 또 상상력·공상력 등과 매우 관련되어 있는 것입니다. 자신의 감정의 미묘한 변화를 알아차리고 말로 할 수 있는 것은, 색채가 풍부한 정신 생활을 보내 부드러운 대인 관계를 구축하는 것에도 연결되어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실감정증」을 이해하는 것은, 마음과 몸의 관계 뿐만이 아니라,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의 본연의 자세를 이해하는데 있어서도 빠뜨릴 수 없는 키워드가 되어 왔습니다.

 
 

참고자료

  1. Sifneos PE
    심신증 환자의 '알렉시티미아' 특성의 유병률.
    Psychother Psychosom. 22(2): 255-62, 1973.
  2. Moriguchi Y, Ohnishi T, Lane RD, Maeda M, Mori T, Nemoto K, Matsuda H, Komaki G
    자기 인식 장애와 마음 이론: 알렉시티미아에서 정신화에 대한 fMRI 연구.
    Neuroimage 32: 1472-82, 2006.
  3. Moriguchi Y, Decety J, Ohnishi T, Maeda M, Mori T, Nemoto K, Matsuda H, Komaki G
    공감과 타인의 고통 판단: 알렉시티미아에 대한 fMRI 연구.
    Cereb Cortex 17: 2223-34, 2007.
  4. Moriguchi Y, Ohnishi T, Decety J, HirakataM, Maeda M, Matsuda H, Komaki G
    자기 인식이 부족한 집단의 인간 거울 뉴런 시스템: 알렉시티미아에 대한 FMRI 연구.
    Human Brain Mapping 30: 2063-76, 2009.
반응형

댓글